유해해양생물 보름달물해파리 관리
사업추진 법적 근거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유해해양생물관리)
- - (법 제24조) 수산업 피해 상황, 유해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해해양생물 관리
사업담당 부처 및 기관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사업목적
- 대량번식을 통해 해양생태계와 서식지를 교란하는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를 통해 수산업 피해를 저감하고 해양자산의 건강성 유지로를 통해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 해파리 관리에 따른 해양자산 건강성 증진을 통해 해양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폴립제거 전·후 모습
-
제거 전
-
제거 후
2024년 사업 추진 계획
· 폴립 대량서식 해역(비응항, 야미도항 등 새만금 주변해역 6개소 및 목포항) 대상 폴립제거 실시
· 해파리 광역 탐색 모니터링에 의한 차기 폴립제거 후보지 발굴 및 폴립제거 효과성 검증
* 시화호, 마산만, 가막만, 완도, 해남, 강진, 전곡항, 목포항, 어란진항, 비봉마리나, 오천항, 잠두항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주요성과
해양수산부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년도 | 대상해역 | 실적 |
---|---|---|
2013 | 시화호 | (제거) 1억 6,000만 개체 |
마산만 | (제거) 7,500만 개체 | |
2014 | 마산만 | (제거) 2억 3,000만 개체 |
새만금 | (제거) 2,500만 개체 | |
2015 | 새만금 | (제거) 2억 2,000만 개체 |
가막만 | (제거) 1,000만 개체 | |
2016 | 새만금 | (제거) 2억 5,000만 개체 |
가막만 | (제거) 2억 9,000만 개체 | |
여자만 | (제거) 93만 개체 | |
득량만 | (제거) 3,800만 개체 | |
포항 장길리항 |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504㎡) | |
2017 | 전남남부(해남, 완도,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가막만) | (제거) 4억 400만 개체 |
전북 가력도항, 경남 서상항 | (제거) 9,300만 개체 | |
새만금, 득량만 | (제거) 9,000만 개체 | |
충남 당진항, 전북 비응항, 경남 장포항, 경남 가오치항 | (제거) 1,000만 개체 | |
전국 해파리 폴립 탐색 | (탐색) 전국 30개 지역 441개 구조물, (발굴) 161개 폴립 서식 구조물 |
|
2018 | 인천 송도LNG기지, 당진항, 평택항 | (제거) 1억 4,000만 개체 |
전곡항 | (시범제거) 2,000만 개체 | |
2019 | 인천항(남항, 북항, 연안부두), 전곡항 | (제거) 5억 4,000만 개체 |
평택항 서부두 | (시범제거) 500만 개체 | |
2020 | 인천항(관공선부두), 대산항, 전곡부잔교, 평택항서부두 | (제거) 2억 9,600만 개체 |
2021 | 평택항, 전곡항, 천수만, 비응항, 도남항, 강구안, 북신만, 완도 | (제거) 3억 8,000만 개체 |
2022 | 완도·통영 도서지역, 부산수영요트계류장, 포항요트계류장, 김녕항, 격포항, 가력도항, 궁항, 신시도항, 야미도항 | (제거) 2억 9,900만 개체 |
2023 | 인천항, 새만금, 목포항, 득량만, 거제만 | (제거) 5억 6,200만 개체 |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년도 | 대상해역 | 실적 |
---|---|---|
2014~2015 | 득량만 | (제거) 2억 6,000만 개체 |
전남서부(함평만, 압해도, 목포시) | (발굴) 폴립서식지 3개소(3,515㎡) | |
2015~2016 | 압해도, 목포신·구항 | (제거) 1억 4,000만 개체 |
전남남부(완도, 해남,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신지도) | (발굴) 폴립서식지 6개소(1,898㎡) | |
2018 | 마산가포신항, 수정만 | (발굴) 폴립서식지 2개소(3,245㎡) |
(제거) 1,000만 개체 | ||
2019 | 장포항 | (제거) 1,100만 개체 |
적량항 |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7,779㎡) | |
진동만(광암항, 고현항) | (제거) 1,500만 개체 | |
원문만, 산양읍 | (제거) 1,700만 개체 | |
거제면, 동부면 | (제거) 3,500만 개체 | |
고성만, 자란만, 하이화력발전소, 당항만 | (제거) 4,700만 개체 | |
2020 | 적량항 | (제거) 2,000만 개체 |
창선면, 삼동면 | (발굴) 폴립 서식지 2개소(1,287㎡) | |
가포신항, 구산면 | (제거) 1,400만 개체 | |
광도면, 통영 유람선 터미널 | (제거) 1,200만 개체 | |
일운면, 장승포동 | (제거) 7,300만 개체 | |
득량만 | (제거) 2억 개체 | |
2021 | 둔덕면, 거제만, 일운면 | (제거) 1,200만 개체 |
원전항, 마산항 | (제거) 1,700만 개체 | |
격포항, 가력도항 | (제거) 3,400만 개체 | |
2022 | 마산항 제2부두, 원전항 | (제거) 1,700만 개체 |
격포항, 궁항 | (제거) 5,600만 개체 | |
2023(1차) | 가포신항, 원전항 | (제거) 1,200만 개체 |
격포항, 가력도항 | (제거) 2,000만 개체 | |
2023(2차) | 새만금 | (제거) 2,200만 개체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관리
사업추진 법적 근거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유해해양생물관리)
- - (법 제24조) 수산업 피해 상황, 유해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해해양생물 관리
사업담당 부처 및 기관
해양수산부, 인천시, 강화군, 해양환경공단
사업목적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관리를 통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보호 및 갯벌의 육지화 방지
- 외래종 갯끈풀 번식지 확산을 방지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저감
갯끈풀 유입으로 인한 갯벌 생태계 변화
- 국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파괴
- 갯벌 표층에 도달하는 햇빛의 투입량 감소로 인한 미세조류 생산력 저하
- 저서생물의 먹이생물 및 갯끈풀 뿌리로 인한 서식지 감소 등
갯끈풀 특성
- [과명] 다년생 벼과(Poaceae) 식물로 기수성의 다년생 초본
- [원산지] 북미 대서양 연안 뉴펀들랜드, 캐나다 남쪽에서 아르헨티나 북부 갯벌 지역
- [국외분포] 아시아, 태평양 연안, 유럽, 북아메리카
- [국내분포] 강화도, 영종도, 신도, 장봉도, 대부도, 서천군, 김제시, 진도군
형태 및 생태적 특성
- 다년생 초본, 만조와 간조사이에 지면이 드러나는 곳의 간만의 차가 큰 진흙에 분포
- 잎은 두텁고 다소 넓은 긴 칼날 모양을 하며 끝은 뾰족함
- 잎 폭은 0.6~1.5cm, 높이는 0.4~3m 정도까지 자라며, 서로 촘촘히 붙어 성장하며 군생함
- 지하경을 길게 뻗고, 잔뿌리가 많아 복잡한 근계(complex root system)를 형성하여 무성번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
갯끈풀 국내 분포도 및 식별방법
-
갯끈풀
- 지면 가까이부터 잎이 생장
- 화서가 거의 없음
- 근계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
- 소~대형 원형군락 형성
- 강한번식력
- 길이 100~250cm -
갈대
- 지면에서 20cm 이상
- 높이부터 잎이 성장
- 화서가 크고 두꺼움
- 길이 100 ~ 300cm -
지채
- 개체길이가 짧음
- 주로 소형군락
(직경 50cm 이하) 형성
- 길이 10 ~ 50cm
갯끈풀 제거방법
-
물리적 제거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
화학적 제거
제초제 이용
-
생물학적 제거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 국내에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물리적 제거방식에 국한하여 시행
-
갯끈풀 제거 작업 전
-
갯끈풀 제거 작업 중
-
갯끈풀 제거 작업 후
2024년 사업추진 계획
- 강화도 갯끈풀 제거 및 처리
- 갯끈풀 서식지 해양환경생태조사
- 갯끈풀 서식지 모니터링 및 공간관리
- 강화남단 갯벌 염생식물 분포현황 조사
- 교육 및 홍보, 대외협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