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자연 환경 조사 사업
조사 운영 및 구성
환경부에서 구성-운영하는 자연 환경 조사단은 국립 환경 연구원내에 총 약 15명 규모(7-8인의 박사급 연구원 포함)의 인력으로 구성-운영되었으며 실제 현장 조사에는 약 200여 명의 전국 대학 교수 등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였고, 겨울을 제외한 3계절에 걸쳐 수행되었다.
조사계획과 추진 방향
이 사업은, 1986년 시작되어 현재까지 3단계 사업을 끝내고 4단계 사업을 준비 중이다. 지금까지 투입된 예산 내역을 보면, 1986년에서 1996년에 수행된 1단계 사업에 총 20억 원이 투입되었다. 2단계(1997-2003년 수행, 7년)에서는 총 145억 원의 책정 예산 중 122억 원을 집행하였고, 2004년에서 2005년에 걸쳐 수행된 2단계 보완 조사에서는 총 29억 원(연 14.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3단계(2006-2008년)에서는 연 27억원('06년, DB구축을 위한 예산 3억 원 포함)이 투입되었고, 특별히 1, 2단계에서 수행된 해양조사 내용이 3단계에서는 배제되었다.
생태도 작성
전국자연환경조사사업을 위한 조사지침서는 사업시행 초기 1년 동안에 작성되었고, 각 사업 단계별로 조사지침서가 개정되었다. 예산/인력 등 현실적인 문제로 조사지침서와 실제 조사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3단계 사업에서는 계획과 실제 조사 내용이 최대한 일치하도록 현실적인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즉, 도출된 조사 자료는 5등급으로 나누어 작성되었고, 데이터 수정과 DB/GIS(생태도)를 갱신하는 작업도 추가로 이루어져 지금의 생태도가 완성되었다. DB/GIS(생태도) 작성의 주기는 매년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그러나 사업 초기에는 사업을 정착시키는 등 여러 가지 여건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업시작 3년 후부터 생태도가 작성되었다. 생태도 작성의 기본 목적은 "개발 행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되었고, 생태도 작성을 위한 DB/GIS 예산 4억원/년은 별도로 지원-운영 중이다.
-
Data Clearing
-
생태도 갱신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
사업추진 방향
- 2014년 기본조사 계획 수립
- 2015년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중점조사] 동·서·남해 12개소
- 2016년 [기본조사] 동·남해(동부), 제주권 [중점조사] 동·서·남해 13개소
- 2017년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중점조사] 동·서·남해 13개소
- 2018년 [기본조사] 동·남해(동부)권, 제주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2개소
- 2019년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1개소
- 2020년 [기본조사] 동·남해(동부)· 제주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1개소
- 2021년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1개소
- 2022년 [기본조사] 동·남해(동부)·제주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5개소
- 2023년 [기본조사] 서·남해(서부)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5개소
- 2024년 [기본조사] 동·남해(동부)·제주권[중점조사] 동·서·남해 65개소
세부 사업 내용
- 권역별 기본조사
- 우리나라를 2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매년 1개 권역에 대해 연 1~2회 조사
- * (홀수해) 서해․남해(서부)권역 / (짝수해) 남해(동부)․동해․제주권역
- [조사횟수: 갯벌 1회(하계), 연안 2회(춘·하계), 수중 2회(춘·하계), 근해 1회(하계)]
- 중점조사
-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중요해역*을 정하여 매년조사
- 중요해역: 하구해역, 한·난류 고차해역, 기후변화 취약해역, 우수 수중생태계 해역, 사회적 이슈 및 국민 인지도 높은 해역 등
- 조사횟수: 갯벌 2회(춘·하계), 하구·용승 4회(춘·하·추·동), 아열대화 2회(춘·하계), 바닷새 2회(동·추계)
- 해양보호구역 후보지 조사
- 해양보호구역 지정 요청 등 조사수요 발생 시 후보지 생태계 조사
- 조사횟수: 긴급조사 수요 발생 시에 수행(비정기 조사)
DB/GIS 구축 및 업데이트
매년 종합조사 결과를 Database로 구축하고 해양환경정보포털 Web-GIS에 갱신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해당 내용은 정책, 국제협력 및 연구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해양관측자료
이러한 관측들은 우리나라 근해해역과 연안 해역을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상당히 장기간에 걸쳐 수행되어 왔다.
정선해양관측
정선해양관측은 1960년대 이래 지금까지 정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4계절 관측까지 하고 있어서 체계적으로 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이 관측의 조사 내용은 수온, 염분, 수색, 투명도, 가상, DO, 영양염류(N, P, Si), 클로로필-a, 식물·동물플랑크톤 등이다.
연안정지 관측 조사사업
연안정지관측 조사사업은 193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오고 있다. 연안정지 곤측에서의 조사 항목 또한 수온, 염분등 약 10개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림]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행중인 연안정지관측 조사정점도
연안해양환경조사사업
연안해양환경조사사업은 해양 오염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오염에 관한 항목만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조사 항목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해수 일반항목: 수온, 염분, pH, DO, COD, TN, DIN(3), TP, DIP, SiO2, 유분, SS, 투명도
- 해수 특정항목: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Cn, PCBs외 10개
- 해양생물 일반항목: 클로로필a, 식물·동물플랑크톤
- 해양생물 특정항목: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PCBs외 3개
- 퇴적물 일반항목: 입도, 강열감량, 황화물, COD
- 퇴적물 특정항목: Cu, Pb, Zn, Cd, Cr6+, 총수은, As, PCBs외 3개
해양 환경도 조사사업
조사항목
수온, 염분, 위성자료, 조석, 조류, 해류, 각종 중금속과 DO, 질산/인산/규산염 등 영양염류, 엽록소, 식물/동물 플랑크톤, 자치어, 연성 및 경성 저서동물, 퇴적물의 입도 등 조직특성, 각종 중금속, 점토광물, 중광물, 부유퇴적물 농도, 지질공학적 특성 등 60여개
조사자료 및 활용
조사자료는 ATLAS로 작성되어 관련 기관에 배포되었고, 현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터넷 홈페이지(www.kiost.ac.kr)에 공개되어 있다. 현재까지 이 자료는 유관기관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 중이다.
국가해양기본도 조사
국립 해양 조사원에서는, 1996년 이래 현재까지 우리나라 해양에 대한 국가해양기본도 작성을 위한 종합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총 17년에 걸쳐 수행되고, 조사구역은 동서남해 관할해역 375천㎢를 모두 포함한다. 이 조사의 자료 활용 분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해양 행정에 지도기반 제공
- 한·중·일 배타적 경제 수역 및 대륙붕 등에 관한 해양 경계 확정에 활용
- 2009년 5월까지 UN 해양법협약에 따라 필요시 대륙붕한계 위원회에 자료를 제출 + 해양 지질 재해요소 파악, 연안 재해예방
-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해 첨단조사장비에 의한 정밀·정확한 측량자료를 생산
- 해도간행과 동북아 해상 수송로 및 해양방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