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바다로 다시 태어나다
생활하수와 산업폐수로 인해 오염된 해저의 퇴적물은 수질을 악화시키는 동시에 해양생태계를 파괴합니다.
해양환경공단은 오염된 퇴적물에 대한 정화사업을 수행함으로써 해양의 자정능력을 회복시키고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합니다.
사업목적
- 오염퇴적물 수거로 폐쇄 및 반폐쇄 해역의 자정능력 회복
- 오염퇴적물로 인한 악취와 수질을 개선하여 쾌적한 주민생활환경 조성
-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해양수질 및 저질의 개선 확인
- 근거법령
-
※ 해양환경관리법 제18조(해양환경개선조치)
※ 해양환경관리법 제123조제3항제1조(권한의 위임·위탁)
사업발전(추진)방향
- 해양수산부로부터 특별관리해역을 중심으로 한 오염퇴적물 분포현황조사 용역 수행 (해양정화팀, 해양수질팀)
- 오염퇴적물 분포현황조사 및 타당성조사 결과, 투기장 조성 여부, 지역민원 요구 등에 따른 정화사업 실시설계 추진
- 정화사업 추진중·후 해양환경모니터링 실시를 통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실시
- 지속적인 사업대상지 확대 시행 및 오염퇴적물 분포현황도 작성
추진체계
- 사업총괄 : 해양수산부, 지방해양수산청
- 지원형태 및 조건 : 민간위탁사업, 국고100%
- 위탁사업 수행기관 : 해양환경공단
-
사업수행절차
-
정화사업 Flow Chart
-
향후 추진계획
추진계획표 2020년 2021년 2022년 - 부산감천항(동측) 오염퇴적물정화사업(2년차)
- 여수구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3년차)
- 통영강구안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1년차)
- 부산용호만 저서환경 복원사업
- 부산북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 실시설계
- 마산항내호 오염퇴적물정화사업 실시설계
- 해양환경모니터링
- 사업중: 감천항(동측,서측), 여수구항, 통영강구안항
- 사업후: 다대포항, 행암만, 장생포항, 동빈내항
- 부산감천항(동측) 오염퇴적물정화사업(3년차)
- 통영강구안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2년차)
- 부산감천항(서측) 오염퇴적물정화사업(2년차)
- 부산북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1년차)
- 마산항내호 오염퇴적물정화사업(1년차)
- 해양환경모니터링
- 사업중: 감천항(동측,서측), 통영강구안항, 북항, 마산항내호
- 사업후: 행암만, 다대포항, 여수구항, 장생포항, 동빈내항, 용호만
- 부산감천항(동측) 오염퇴적물정화사업(4년차)
- 통영강구안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3년차)
- 부산 감천항(서측) 오염퇴적물정화사업(3년차)
- 부산북항 오염퇴적물정화사업(2년차)
- 마산항내호 오염퇴적물정화사업(2년차)
- 해양환경모니터링
- 사업중: 감천항(동측,서측), 통영강구안항, 북항, 마산항내호
- 사업후: 행암만, 다대포항, 여수구항, 장생포항, 동빈내항, 용호만
사업추진방향
-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감천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2년차) 통영강구안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1년차) 여수구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3년차) 부산용호만 저서환경 복원사업 -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오염퇴적물 분포현황조사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오염퇴적물 분포현황조사 해양환경모니터링(수질) 해양환경모니터링(표층퇴적물) 분포현황조사(주상퇴적물)
주요성과
- 오염된 퇴적물을 수거·처리함으로써 해양의 자정능력 회복 및 주민생활환경 개선에 기여
-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지역에 지속적인 해양환경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정화사업의 효과를 검증하고, 재오염을 방지
수거처리량(㎥) | ||||||||||
---|---|---|---|---|---|---|---|---|---|---|
사업연도 | 부산 남항 | 용호만 | 여수신항 | 방어진항 | 장생포항 | 행암만 | 다대포항 | 동빈내항 | 여수구항 | 계 |
2019 | - | - | - | - | 44,567 | - | - | 34,128 | 41,748 | 120,443 |
2018 | - | - | - | - | 66,786 | - | - | 37,724 | - | 104,510 |
2017 | - | - | - | - | 54,161 | 45,820 | 11,933 | 27,283 | 10,710 | 149,907 |
2016 | - | - | - | - | 59,012 | 137,444 | 79,653 | - | - | 276,109 |
2015 | - | - | - | - | 39,117 | 43,691 | - | - | - | 82,808 |
2014 | 92,322 | - | - | - | - | - | - | - | - | 92,322 |
2013 | 38,491 | - | - | 67,309 | - | - | - | - | - | 105,800 |
2012 | 69,303 | - | - | 13,391 | - | - | - | - | - | 82,694 |
2011 | 19,694 | 32,389 | 84,909 | - | - | - | - | - | - | 136,992 |
2010 | 13,478 | 20,746 | - | - | - | - | - | - | - | 34,224 |
2009 | 25,310 | 14,636 | - | - | - | - | - | - | - | 39,946 |
계 | 258,598 | 67,771 | 84,909 | 80,700 | 263,643 | 226,955 | 91,586 | 99,135 | 52,458 | 1,225,755 |
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은 산업화 및 도시화를 거치면서 여러 해역에 유입되어 축적된 중금속 및 각종 오염된 퇴적물을 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수거하여 처리함으로써 퇴적물과 수질 환경을 개선하고, 생태계를 회복시켜서 궁극적으로 주민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입니다.
해역명 | 사업기간(년) | 사업비(백만원) | 정화량(㎥) |
---|---|---|---|
다대포항 | 2016 - 2017 | 5,246 | 91,586 |
마산항 | 1988 - 1994 | 28,484 | 2,111,000 |
부산 남항 | 2009 - 2014 | 28,500 | 258,598 |
부산 용호만 | 2009 - 2012 | 9,700 | 67,771 |
속초(청초호) | 2000 - 2004 | 20,817 | 593,000 |
여수(선소) | 2001 - 2005 | 25,990 | 542,000 |
여수항(구항) | 2017 - 2019 | 3,000 | 52,458 |
여수항(신항) | 2011 - 2011 | 6,252 | 84,909 |
울산 방어진항 | 2012 - 2014 | 9,800 | 80,700 |
울산항(장생포항) | 2015 - 2019 | 34,084 | 263,643 |
주문진항 | 1996 - 2000 | 7,750 | 230,000 |
진해항(행암만) | 2015 - 2017 | 15,025 | 226,955 |
축산항 | 1996 - 1997 | 330 | 23,000 |
포항(동빈내항) | 2017 - 2019 | 11,700 | 105,221 |
포항(영일만) | 1999 - 2007 | 31,752 | 521,000 |
합계 | 238,430 | 5,251,8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