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폴립) 탐색 및 제거 사업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은 보름달물해파리 피해 사전예방을 위하여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단계에 대한 제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거 전·후 해파리 및 부유생태계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해양생태계 개선 및 관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업추진 법적 근거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유해해양생물관리)
- (법 제24조) 수산업 피해 상황, 유해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해해양생물 관리
사업담당 부처 및 기관 :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사업목적
· 대량번식을 통해 해양생태계와 서식지를 교란하는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를 통해 수산업 피해를 저감하고 해양자산의 건강성 유지로를 통해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 해파리 관리에 따른 해양자산 건강성 증진을 통해 해양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폴립제거 전·후 모습
-
제거 작업 작업 전
-
제거 작업 작업 후
2020년 사업추진 내용
· 폴립 밀집서식 해역(인천항 관공선부두, 제부도, 삼길포) 대상 폴립제거 실시
· 폴립제거 해역*에 대한 폴립제거 효과 모니터링
* 시화호, 새만금, 마산만, 득량만, 완도, 해남, 강진, 가막만, 송도LNG인수기지, 평택항, 당진항, 전곡항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년도 | 대상해역 | 실적 | 비고 |
---|---|---|---|
2013 | 시화호 | 1억 6천만개체 제거 | 본격제거 |
마산만 | 7천 5백만 개체 제거 | 시범제거 | |
2014 | 마산만 | 2억 3천만 개체 제거 | 본격제거 |
새만금 | 2천 5백만 개체 제거 | 시범제거 | |
2015 | 새만금 | 2억 2천만 개체 제거 | 본격제거 |
가막만 | 1천만 개체 제거 | 시범제거 | |
2016 | 새만금 | 2억 5천만 개체 제거 | 전면제거 |
가막만 | 2억 9천만 개체 제거 | 본격제거 | |
여자만 | 93만 개체 제거 | 시범제거 | |
득량만 | 3천 8백만 개체 제거 | 긴급제거 | |
포항 장길리항 | 폴립서식지 1개소(504㎡) 발굴 | 폴립탐색 | |
2017 | 전남남부(해남, 완도,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가막만) | 4억 4백만개체 제거 | 본격제거 |
전북 가력도항, 경남 서상항 | 9천 3백만개체 제거 | ||
새만금, 득량만 | 9천만개체 제거 | 긴급제거 | |
충남 당진항, 전북 비응항, 경남 장포항, 경남 가오치항 | 1천만개체 제거 | 시범제거 | |
전국 해파리 폴립 탐색 | 전국 30개 지역 441개 구조물 탐색, 161개 폴립 서식 구조물 발굴 | 폴립탐색 | |
2018 | 인천 송도LNG기지, 당진항, 평택항 | 1억 4천만개체 제거 | 본격제거 |
전곡항 | 폴립서식지 1개소(4,423㎡) 발굴 | 폴립탐색 | |
2천만개체 제거 | 시범제거 | ||
2019 | 인천항(남항, 북항, 연안부두), 전곡항 | 5억 4천만개체 제거 | 탐색·제거 |
평택항 서부두 | 폴립서식지 1개소(2,400㎡) 발굴 | 폴립탐색 | |
5백만개체 제거 | 시범제거 |
사업추진 법적 근거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유해해양생물관리)
- (법 제24조) 수산업 피해 상황, 유해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해해양생물 관리
사업담당 부처 및 기관 :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사업목적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관리를 통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보호 및 갯벌의 육지화 방지
- 외래종 갯끈풀 번식지 확산을 방지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저감
갯끈풀 유입으로 인한 갯벌 생태계 변화
- 국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파괴
- 갯벌 표층에 도달하는 햇빛의 투입량 감소로 인한 미세조류 생산력 저하
- 저서생물의 먹이생물 및 갯끈풀 뿌리로 인한 서식지 감소 등


갯끈풀 특성
- (과명) 다년생 벼과(Poaceae) 식물로 기수성의 다년생 초본
- (원산지) 북미 대서양 연안 뉴펀들랜드, 캐나다 남쪽에서 아르헨티나 북부 갯벌 지역
- (국외분포) 아시아, 태평양 연안, 유럽, 북아메리카
- (국내분포) 강화도, 영종도, 신도, 대부도, 서천군, 진도
형태 및 생태적 특성
- 다년생 초본, 만조와 간조사이에 지면이 드러나는 곳의 간만의 차가 큰 진흙에 분포
- 잎은 두텁고 다소 넓은 긴 칼날 모양을 하며 끝은 뾰족함
- 잎 폭은 0.6~1.5cm, 높이는 0.4~3m 정도까지 자라며, 서로 촘촘히 붙어 성장하며 군생함
- 지하경을 길게 뻗고, 잔뿌리가 많아 복잡한 근계(complex root system)를 형성하여 무성번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

갯끈풀 국내 분포도 및 식별방법

-
갯끈풀
- 지면 가까이부터 잎이 생장
- 화서가 거의 없음
- 근계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
- 소~대형 원형군락 형성
- 강한번식력
- 길이 100~250cm -
갈대
- 지면에서 20cm 이상
- 높이부터 잎이 성장
- 화서가 크고 두꺼움
- 길이 100 ~ 300cm -
지채
- 개체길이가 짧음
- 주로 소형군락
(직경 50cm 이하) 형성
- 길이 10 ~ 50cm
갯끈풀 제거방법
-
물리적 제거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
화학적 제거
제초제 이용
-
생물학적 제거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 국내에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물리적 제거방식에 국한하여 시행
-
갯끈풀 제거 작업 작업 전
-
갯끈풀 제거 작업 작업 중
-
갯끈풀 제거 작업 작업 후
2020년 사업추진 계획
- · 갯끈풀 분포현황 파악 및 생태조사
- · 갯끈풀 제거 및 관리
- · 갯끈풀 모니터링 및 효과분석
- · 갯끈풀 추가발생지역 긴급대응
- · 갯끈풀 제거‧관리 사업 홍보 및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