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소개
「해양생태계 기본조사」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를 근거로 10년을 주기로 ‘06년부터 동·서·남해 연근해 및 EEZ 전 해역을 8개 권역으로 나누어 수행하고 있는 해양생태계 법정조사 사업으로,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현황과 장·단기 변동 특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근거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
※ 10년마다 전국을 대상으로 해양생태계 기본조사를 실시하여야 함
사업목적
-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 해역별 특성 및 장·단기 변동을 파악하여 건강한 해양생태계 보전 전략 수립
- 지구온난화, 생물다양성 등 전 지구적 해양생태계문제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전략 수립 및 과학적인 정책제언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 제공
- 해양생태계의 개발, 보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증진




조사현황
1단계, 조사기본계획 수립(프로토콜 작성) : ‘05년
2단계, 1차 동·서·남해 권역별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수행 : ‘06년 ~ ’13년(8개년)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동·서·남해 연근해 및 EEZ 전 해역을 8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매년 1개 권역씩 4계절 조사 수행, 조사결과를 토대로 해양생태계보전·관리 기본계획 수립
추진체계

세부사업내용

분과 | 세부분야 | 세부조사항목 | |
---|---|---|---|
부유생태 | 부유환경(수질) | 수은, 염분, 영양염류, 용존산소, 부유물질농도, pH, 투명도, 중금속 등 | |
미생물 | 총균수, 집략형성세균, 군집분석 | ||
식물플랑크톤 | 엽록소a, 종조성, 현존량, 군집분석, 시공간적 패턴분석 | ||
동물플랑크톤 | 종조성, 현존량, 군집분석, 시공간적 패턴분석 | ||
저서생태 | 저서환경(저질) | 입도, 유기탄소, 총질소, 탄산염, 미량금속(Cd, Co, Cr, Cu, Pb, Ni, Al) | |
중형저서동물 | 종조성, 서식밀도 | ||
대형저서동물 | 종조성, 서식밀도, 생체량, 군집분석, 건강도, 시공간적 패턴분석 | ||
경성암반생물 | 해조류 | 종조성,피도, 생체량 | |
무척추 동물 | 종조성, 밀도, 생체량, 시공간적 패턴분석 | ||
유영생태 | 유영환경 | 부유환경과 동일 | |
어란/자치어 | 종조성, 서식밀도, 분포특성 | ||
어류 | 종조성, 생체량, 생태지수, 현존량 | ||
두족류 | 종조성, 생체량, 생태지수, 현존량 | ||
갑각류 | 종조성, 생체량, 생태지수, 현존량 | ||
해양보호구역 특별조치 | 해양보호구역 지정근거 정밀조사, 보호대상해양생물 서식실태 | ||
해양생태지수 및 해양 생태도 개발 | 등급 구분에 따른 해양생태도 작성 |
3단계, 백서발간 및 조사지침서 보완 : ‘14년 ~ ’15년
구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
권역 | 서해북부 | 서해중부 | 서해남부 | 남해서부 | 남해동부 | 제주, 이어도 | 동해남부 | 동해북부 | 백서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