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비상

  1. 해양방사능이란?
  2. 방사능 비상

방사능 비상

방사선 사고

원자력시설에서 시설운영자에 의해 즉시 통제할 수 있는 계획되지 않은 방사성물질 누출사고 핵물질ㆍ방사성물질 취급ㆍ운송사고 또는 분실ㆍ도난ㆍ탈취 등의 사고로 인하여 건강, 안전 및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거나 우려가 있는 방사선비상 이하의 사고

방사선 비상

원자력시설에서 방사선사고 보다 더 심각한 사건이 발생되어, 방사성물질 또는 방사선이 환경으로 누출되거나 누출될 우려가 있어 사고완화조치 및 직원보호조치 등 긴급한 대응조치가 필요한 상황

방사능 재난

방사선비상이 주민의 생명과 재산 및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으로 확대되어 국가적 차원의 대처가 필요한 재난 상황

방사능 누출 대비 국민행동요령

국내에선 방사능유출량의 기준으로 시간당 방사선량을 나타내는 방사선량률이
시간당 10밀리 시버트(mSv/s)를 넘어야 ‘방사선 재난’을 선포하는데 1회의 CT 촬영시 발생하는 순간 방사능 규모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방사선은 빛, 냄새, 맛이 없어 사람의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측정기를 통해서만 그 존재 여부나 세기 등을 알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부의 지시나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행동해야 합니다.
  • 콘크리트 건물의 지하 또는 건물 중심으로 대피하는 것이 방사는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가급적 가옥이나 건물안에서 생활합시다.
  • 집이나 사무실의 창문을 꼭 닫고 에어컨 등 환기 시설 작동을 중지시켜 외부공기 유입을 최소화합시다.
  • 창문을 젖은 수건이나 테이프 등으로 밀봉해 외부와 격리시키면 방사능 오염물지 유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 대형 건물에서는 공조 설비가 흡입하는 외부공기를 정화할 방법을 마련하거나 공조 설비를 꺼야 합니다.
  • 우물, 장독 등은 뚜껑을 덮어 둡니다.
  • 외출할 때는 피부노출이 되지 않는 복장을 착용하되, 우산과 비옷 등을 휴대하여 비를 맞지 않도록 하고, 방독면이나 마스크 등으로 호흡기를 보호합니다.
  • 밀폐된 건물 밖에 있는 물은 버리거나 오염검사를 한 뒤에 이용합니다.
  • 음식물은 실내로 옮겨 놓고, 옥외에서는 음식물을 먹지 않습니다.
  • 대용으로 공급된 음식물 또는 오염검사 후 허용된 음식물 외에는 섭취하지 맙시다.
  • 야채, 과일 등 채소류는 오염되지 않는 물에 깨끗이 씻어서 먹습니다.
  • 가축은 축사로 이동시키고 사료는 비닐 등으로 덮어두어야 합니다.
  • 방사능에 오염된 먼지를 흡입하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외출에서 돌아 왔을 때에는 몸을 깨끗이 씻습니다.
  • 외출 후에는 입었던 옷을 벗고 목욕을 한 후 새 옷으로 갈아 입습니다.
  • 라디오, TV, 유선방송 등을 청취하며 정부의 지시에 따릅니다.
  • 갑상선암 발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요오드 제제의 섭취 등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평점평점
의견의견
의견작성

전체메뉴

분석결과

해양방사능 측정자료의
분석결과 제공합니다.

자료실

해양방사능 관련
주요 자료를 제공합니다.

해양방사능 안전지도

해양방사능 안전지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